안녕하세요 행복으로 치료하는 치료멍멍 동물병원입니다^^
오늘 말씀드릴 주제는 알러지와 외이염입니다.
외이염은강아지들이 병원에 오는 흔한 원인입니다.
미국의 조사에 따르면동물병원을 찾아오는 강아지 중 16%에 해당하는 강아지가 귓병으로 찾아오고
병원진료 중 3번째로 많은 수가진단되어진다고 합니다.
외이염이란 흔히얘기하는 귓병으로 이도 내감염외에 귓바퀴의 감염도 포함합니다.
감염으로인해 국소적인 열감과 붓고 빨개지는 증상을 보이며 이로인해 가려움증이 생기고
귀에서 끈적이는 분비물과 악취가나며 귀벽이 좁아지고 귓바퀴가 두꺼워지게 됩니다.
외이염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그 중장기간 지속된 외이염,
치료 후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외이염에는그 원인으로 알러지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외이염을 일으킬 수 있는 알러지에는 아토피피부염, 음식알러지, 접촉성알러지반응이있습니다.
아토피피부염과 외이염은 관련이 깊습니다.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강아지의 83%에서 외이염 이동 반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43%의 강아지에서 아토피피부염초기에 외이염증상이 발생하였습니다.
또 한약 5%의 강아지에서는다른 피부 증상없이 외이염만이 아토피피부염증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음식 알러지는 외이염을 일으킬 수 있는알러지반응 중 두번째로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음식알러지로 진단된 약 80% 이상의 강아지에서 외이염을 진단받았습니다.
음식알러지에서 약 25%정도는 외이염만을 증상으로 한다는 보고가있어 평소 다른 피부증상없이
외이염이 지속되고 치료 후 재발이 잦은경우음식알러지에대한고려가필요합니다
접촉성 알러지 반응에 의한 외이염은 주로 귀에 넣는 외용제에 의해 일어납니다.
귀의 치료 및 질병 예방을 위해 넣어주는 외용제의 성분이 귀벽 및 귓바퀴 피부에 자극을 일으켜
외이염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강아지마다 자극이 되는 성분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그 중 가장 많이 문제가 되는 성분은 “프로필렌 글라이콜” 입니다.
만약 귀 외용제 적용 시에도 개선이 없으며 자극이 되는듯 하면
성분에 의한 접촉성 알러지 반응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알러지와 외이염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외이염이 있다면 적절한 검사법으로 진단 후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지만,
만약 지속되는 외이염, 치료가 어려운 외이염의 경우 알러지를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특히 다른 증상이 없이 외이염만 있다면 음식 알러지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이염만으로 알러지를 진단할 수는 없으므로 외이염이 지속될 경우
수의사 선생님과 상담하시거나 진료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 Noxon JO. Otitis in the allergic dog. in Veterinary allergy. West Sussex: Wiley Blackwell 2013